돈이 되는 정보

청년도약계좌 조건, 가입금액, 혜택 알아보기

부자나 되볼까 2023. 6. 22. 14:29

청년 도약계좌가 가입신청이 시작되고 1주일이 지나는 시점이고 많은 청년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정보를 알아보실 텐데 조건, 혜택, 가입기간, 가입기관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정부에서 정책으로 시행하는 자산형성 지원제도입니다.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신입과 자산 형성을 처음시작하는 청년들에게 목돈을 만드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펼치는 정책입니다. 혹시 저축이 습관화되지 않은 청년들도 이 정책의 혜택으로 저축을 하고 싶어 하는 마음이 일어나게 하는 동기유발도 할 수 있는 저축상품입니다. 

매월 일정 금액을 5년 동안 납입해서 정부지원금을 보너스로 추가로 지원해 주고 은행이자를 얹고 거기다가 이자소득세까지 추가로 내지 않아도 되니까 청년들이 이 상품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는 동기부여가 되는 것입니다. 사실상 이전의 상황이라면 저축을 했을 때 이자가 높지 않으니까 만기에 찾을 때 원금보다 더 많아졌다는 느낌을 갖지 못하는 게 사실이지만 이 청년도약계좌는 특히 정부지원금이 있기 때문에 원금보다 현저하게 더 많이 받는다는 걸 느낄 수도 있는 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조건 

1. 나이 

  •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의 청년
  • 단, 군대에 입대한 기간 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미산입)

2. 소득

  • 직전 과세기간(전년도) 총 급여액 7,500만 원 이하
  • 직전 과세기간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금액이 6,300만 원 이하
  • 개인 소득 6,000~7,500만 원,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청연도 가입할 수 있지만 정부 기여금 지급 없이 이자소득 비과세만 제공합니다. 

3. 가구소득

  •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4 직전 3개 연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 과세 대상이 아니어야 함

 

 

위의 조건처럼 네 가지 조건을 모두 갖추어야 합니다. 

 

 

기준 중위소득 180% 내용 

기준중위소득 도표

가구 소득 중위 180%, 중위소득 뜻 (tistory.com)

 

가구 소득 중위180%, 중위소득 뜻

가구 중위소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정부 경제 지원 복지 정책에서 많이 나오는 중위소득이라는 단어가 궁금한 분들이 많은 것같습니다. 정부 지원 정책을 실시할 때 중위소득 기준을 정

cathcingcat.tistory.com

 

 

청년도약계좌 가입내용

가입금액

  • 매월 최소 1,000 원 이상 ~ 최대 70만 원 이하입니다. 
  • 연간 납입한도는 최대 840만 원까지입니다. (70만 원 × 12)

가입기간 

  • 60개월(5년)
  • 만기에 일시 지급합니다. 

 

금리

  • 기본금리는 4.5%이고 우대금리 최고 1.5% 적용됩니다. 우대금리를 받기 위한 항목은 가입자의 선택에 따릅니다.
  • 가입 후 3년 동안 고정금리를 유지하고 나머지 2년은 변동금리로 조정합니다. 
  • 은행별 모든 우대금리항목까지 적용하면 6.0%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우대금리항목(최대 1.5%) 

  • 급여이체 : 0.5% (50만 원 이상, 36개월 간 급여이체 시)
  • 지로/공과금 : 0.2%(월 2건 이상 공과금 자동 이체 36개월 이상)
  • 카드결제 : 0.2%(연평균 200만 원 이상 및 만기시점까지 보유)
  • 최초교객 : 0.3(가입시점 최초신규고객)
  • 마케팅동의 : 0.1%(개인 소득구간이 2400만 원 이하인 경우)

기업은행 기준이며 각 은행마다 우대금리 기준은 비슷합니다. 

 

 

우대 금리 조건이 너무 높습니다. 그래서 우대금리 조건을 실행하여 6.0%까지 받을 가입청년들이 많지는 않을 거라고 예상합니다. 소득플러스 항목은 만일 개인 소득구간이 2,400만 원을 초과하면 해당되지 않습니다. 

 

 

만기 시 금액

개인소득
(총급여 기준)
본인 납입한도(월) 기여금
지급한도(월)
기여금 매칭비율 기여금한도(월)
2,400만원 ↓ 70만원 40만 원 6.0% 2.4만원
3,600만원 ↓ 50만 원 4.6% 2.3만 원
4,800만원 ↓ 60만 원 3.7% 2.2만원
6,000만 원 ↓ 70만 원 3.0% 2.1만 원
7,500만 원 ↓ 0 0 0

개인 소득 수준, 납입금액에 따라 정부 기여금을 차등으로 제공합니다. 

 

 

 

위의 표를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 

개인소득 부분은 각 가입자의 전년도 소득을 기준으로 정하는 것입니다.

전년도 소득이 2,400만 원 이하인 사람이 월 70만 원을 납입하면 ×12개월 ×5년 = 원금 4,200만 원이 되고

기여금은 40만 원 한도 × 6.0% = 월 2,4000원 정부가 지원한다는 뜻입니다. 

24,000원 × 12개월 × 5년 = 1,440,000원 지원됩니다. 

이자 비과세입니다. 

 

 

개인소득 3,600만 원인 사람 - 최대 7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고

기여금은 50만 원 한도 × 4.6% = 23,000원을 정부가 지원합니다. 그래서 2,3000원 × 12개월 × 5년 = 1,380,000원 지원받습니다. 

 

 만기 예상수령금 예시

개인소득 가입자
납입금액(월)
기여금
지급한도(월)
기여금
매칭비율
기여금(월) 기여금
(가입기간)
원금 이자
4.5% 5% 5.5%
2,400만원  400,000 400,000 6.0% 24,000 1,440,000 24,000,000 4,398,939 4,755,777 5,118,611
  600,000 400,000 6.0% 24,000 1,440,000 36,000,000 5,878,409 6,413,665 7,511,328

만기수령액은 4.5% 28,398,939원  5.0% 28,755,777원   5.5% 29,118,611원입니다. 

 

 

개인소득 가입자
납입금액(월)
기여금
지급한도(월)
기여금
매칭비율
기여금(월) 기여금
(가입기간)
원금 이자
4.5% 5% 5.5%
6천만원↓ 700,000 700,000 3.0% 21,000 1,260,000 42,000,000 6,438,144 7,062,609 7697569

만기수령액은 4.5% 48,438,144원   5.0% 49,062,609원   5.5% 49,877,569원입니다. 

 

 

최대금리를 기준으로 대략 정리하면 아래의 금액이 나옵니다. 

월납입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원금 1800만원 2400만원 3000만원 3600만원 4200만원
만기예상금액 2100~2210만원 2800~2950만원 3500~3650만원 4200~4350만원 4900~5050만원

 

기타 내용

중복가입

다른 금융상품과 중복 가입할 수 있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재직자) 내일 채움공제 등과 함께 가입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청년희망적금을 가지고 있다면 만기 이후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중도해지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못 받습니다. 

해지 사유가 특별중도해지인 경우는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 재심사

1년 주기로 소득 수준을 확인하여 유지심사를 합니다. 다만 가구소득 심사는 안 합니다. 만일 개인소득이 6천만 원을 초과하면 다음 유지심사까지 정부기여금은 제공되지 않고 비고세혜택만 유지됩니다. 

 

대학생도 고용보험에 가입하고 소득이 있으면 가입할 수 있고 공무원도 가능합니다.